'umask'에 해당되는 글 1건

umask

우리가 유닉스 시스템에서 파일을 만들때 저처럼 별 생각없이 만드시는 분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생성할때 권한은 어떻게 결정이 될까요? 다음은 저의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생성했을때 어떤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파일은 권한이 644, 디렉토리는 755로 설정이 되어있네요. 리눅스에서 원래 파일은 0666, 디렉토리는 0777로 생성되게 됩니다. 

644, 755?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은 숫자로 표현
할 수가 있습니다. 각 권한은 비트로 대응되어 설정되어있으면 1, 아니면 0이 됩니다. 그래서 읽기, 쓰기만 권한이 설정되어있고, 실행권한이 없다면 110이 되어서 10진수로 읽으면 6이 됩니다. 
그래서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권한까지 포함이 되면 세글자의 10진수로 표현이 될 수 있습니다. 
666이라면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가 모두 읽기, 쓰기가 허용됩니다.
네 자리로 0666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앞 숫자는 setuid, setgid, sticky 비트의 표현이 됩니다. 이 설명은 지금 포스팅에서 하지 않기로 합니다.

 

근데 위의 결과와는 다르네요? 네, 그것은 umask를 통해서 생성시 권한을 바꿔줄 수가 있기 때문이죠. umask 명령어를 그냥 쳐보면 현재 적용되어있는 umask의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저의 리눅스의 umask값입니다.

 

0022입니다. umask가 적용되지 않았을때, 파일은 0666, 디렉토리는 0777 권한으로 생성되어진다고 했었죠? 그런데 지금 umask값은 0022이니까 0666에서 0222를 빼게 되면 0644, 0777에서 0022를 빼면 0755가 됩니다. 그래서 제가 아까 파일과 디렉토리를 생성했을때 0644, 0755의 권한으로 생성이 되었던 거죠.

생성 파일 권한
file  0666 - 0022 = 0644
dir  0777 - 0022 = 0755

 

umask를 해제하고 싶다면 umask 0으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다시 파일과 디렉토리를 생성했을때 0666, 0777로 권한이 설정됩니다.

 

한번만 더 umask를 통해 생성시 권한을 변경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일을 모두 읽기 권한만 설정하는 umask는 아래와 같습니다. 

umask를 사용할때 주의하셔야할 점은 권한을 설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기본 권한(파일 : 0666, 디렉토리 :0777)에서 그 권한을 빼는 것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chmod

chmod명령을 이용하면 디렉토리나 파일의 권한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단, 변경하려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만이 가능합니다. 다음의 권한이 있는 파일이 있을때 소유자는 읽기,쓰기 그리고 그 외에는 읽기만 할 수 있도록 권한을 주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권한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숫자로 줄 수도 있고, 문자 약자로 더하거나(+) 뺄수(-)도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죠.

반대로 뺄때는 - 기호를 사용하면 됩니다. 약자는 아래 표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약자 표현 설명
u user로 파일 소유자를 의미합니다.
g group으로 파일 소유자의 그룹을 의미합니다.
o other로 다른 사용자를 의미합니다.
+, - 권한을 추가하려면 +, 빼려면 -를 사용하면 됩니다.
r read로 읽기 권한을 의미합니다.
w write로 쓰기 권한을 의미합니다.
x execute로 실행권한을 의미합니다.
s setuid, setgid 비트를 의미합니다.

 

위 표에 나와있는것 외에도 몇가지가 더 있습니다만, 잘 안써서 패스합니다

chmod를 설정할때 setuid, setgid, sticky 비트를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그 전에 있던 suid, sgid, sticky 비트를 유지합니다. 

여기까지 파일 생성시에 권한과 권한 변경과 관련한 umask, chmod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REAKWON

와나진짜

,